1. 정의
-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처야 하는 지점
-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게이트웨이를 이용해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컴퓨터간 통신할 수 있다.
-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변환해주는 변환기 역할
-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.
- 게이트웨이를 지나면서 다른 대역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변환시켜줌으로써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.
2.특징
- 라우터과 동일한 개념이지만 훨씬 포괄적인 개념
라우터는 네트워크 장비의 일종
패킷을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주는 역할 +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
- 많은 네트워크를 거칠 때 마다 네트워크 부하가 발생하여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.
이때 거치는 게이트웨이의 수는 Hop-Count
3. 이해
- 회사
PC IP가 xxx.xx.80.xx 인데 게이트웨이를 실수로 xxx.xx.78.xx 로 설정해서 네트워크 통신이 안되었다.
78대역과 통신하기 위해 80 게이트웨이를 통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아서 통신 오류가 발생
- 집
내 PC 는 netbios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로컬 네트워크에 속한다.
인터넷은 http 통신 프로토콜에 속한다.
내 PC와 인터넷을 연결해주기 위해서 '공유기'라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.
- 공유기는 게이트웨이 역할, 라우터 역할, 방화벽 역할을 동시에 해주는 종합 네트워크 장비
PC IP 172.30.XXX.XXX
게이트 웨이 172.30.1.XXX
공유기 IP 172.30.XXX.XXX
내 PC -> 공유기 -> 인터넷 제공 회사 라우터 -> 인터넷망
내 PC가 위의 루트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게이트 웨이를 통하여 공유기 IP와 통신해야한다.
즉 공유기가 게이트웨이이다.
위에서 필요한 hop count는 2이다.
게이트웨이를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서 인터넷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그냥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은 DHCP(Dynamic Host Control Protocol)을 사용하면 IP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등이 인터넷 제공사에서 제공하는대로 자동 설정 된다.